wil5 [WIL]20230731 ~ 20230806 - 최종 프로젝트 1주차 회고 최종 프로젝트 1주차는 앞으로 6주간 진행될 프로젝트에 대한 기획이 주가 되었다. 우선 우리조의 주제는 주식거래 사이트로 정해졌다. 주식거래를 통해 동시성 문제, 대용량 데이터, 대용량 트래픽 등에 대해 다뤄볼 수 있을거라 생각해서 주식 거래를 정하였고 다음과 같이 MVP기능의 UseCase를 구성하였다. 유저는 홈화면으로 집입하여 상세 종목 조회를 할 수 있고 해당 종목을 매수, 매도할 수 있다. 매수, 매도시 판매자와 구매자가 매칭될때까지 매수/매도를 취소하거나 가격을 수정할 수 있고 매칭되어 매매가 완료되면 해당 기록은 거래 내역에 남는다. 또한 유저는 전체 조회를 통해 전체 주식 종목을 조회할 수 있으며 개인 서비스도 이용이 가능하다. 개인 서비스에는 나의 계좌, 관심 종목, 유저정보, 보유 종목.. 2023. 8. 8. [WIL]20230710~20230716 CORS CORS(Cross-Origin Resource Sharing) CORS는 Cross-Origin Resource sharing의 줄임말로 직역하면 교차 출처 리소스 공유이다. URL은 다음과 같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있는데 출처(Origin)란 Protocol과 Host 그리고 포트까지를 포함한것을 의미한다. 포트번호는 생략이 가능한데 이는 HTTP, HTTPS프로토콜의 기본 포트 번호가 정해져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출처에 포트번호가 생략되지 않고 명시되어있다면 포트 번호까지 같아야 같은 출처라고 인정된다. 웹 생태계에는 다른 출처로의 리소스 요청을 제한하는 것과 관련된 두가지 정책이 존재한다. 한 가지는 CORS이고 또 한가지는 SOP(Same-Origin Policy)이다. SOP정책은 말그대로 .. 2023. 7. 16. [WIL]20230703~20230709 ORM과 JPA SQL SQL이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정보를 표 형식으로 저장하며, 행과 열은 다양한 데이터 속성과 데이터 값간의 다양한 관계를 나타낸다. SQL 문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저장, 업데이트, 제거, 검색할 수 있다. ORM ORM이란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매핑해주는것을 말한다. 객체 지향 프로개리믕 언어는 클래스를 사용하고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을 사용하는데 객체 모델과 관계형 모델간에 불일치가 존재하는데 ORM을 통해 객체간 관계를 바탕으로 SQL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불일치를 해결한다. JPA JPA란 자바 ORM기술에 대한 API 표준 명세를 의미한다. JPA는 ORM을 사용하기 위한 .. 2023. 7. 9. [WIL]20230626~20230702 DI, IoC, Bean 이번주에 공부한 것들 이번주는 주특기주차 첫 주로써 본격적으로 스프링에 대해 배운 한 주였다. DI는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으로 스프링의 다른 프레임워크와 차별화 된 의존 관계 주입 기능이다. 우선 의존성이란 의존대상 B가 변하면, 그것이 A에 영향을 미친다. - 이일민, 토비의 스프링 3.1, 에이콘(2012), p113 의존성을 주입한다는 것은 객체 내에 객체를 생성하여 의존 관계를 맺어 주는것이 아니라 외부에서 객체를 생성한 후 주입시켜주는 방식이다. 내부에서 의존 관계를 맺은 경우 public class A { private B b = new B(); } 객체를 내부에서 직접 주입받는 경우의 코드이다. 물론 이 상태로도 정상적으로 실행되지만 만약 소비자가 치킨대신 피.. 2023. 7. 2. [WIL]20230619~20230625 HTTP, MVC패턴 이번주에 공부한 것들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데이터를 주고 받는 양식을 정의한 통신 규약 중 하나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통신을 위한 통신프로토콜이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자신이 원하는 웹페이지나 데이터를 HTTP요청 하면 서버는 웹페이지나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한 후 있다면 HTTP응답을 통해 클라이언트에 전달한다.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는 받은 웹페이지를 브라우저에 그려주는 역할을 한다. 실제로 브라우저에 개발자도구에 들어가면 서버에세 받은 웹페이지나 데이터들을 확인할 수 있다. HTTP 요청의 구성으로는 Method, Header, Payload가 있다. HTTP Method GET 리소스를 얻을 때 사용하는 메소드 POST 일반적으로 웹 서버에 데이터를 게시할 때 .. 2023. 6. 25. 이전 1 다음